로그인   회원가입   사이트맵   최신글   포토갤러리  
아이디 / 비밀번호 찾기  |  회원가입
교육/복지 전체게시물

  • 오늘
    244
  • 어제
    888
  • 최대
    3,178
  • 전체
    342,230
현재위치 : 교육/복지 > 복지
 
작성일 : 15-08-10 16:07
국민연금 20년 가입 후 수익률 연 6.9~11%
 글쓴이 : 운영자
조회 : 786  
확정기여형(DC형) 퇴직연금은 2014년 12월 현재 연 2.81%

 (서울=연합뉴스) 서한기 기자 = 2014년에 국민연금에 신규로 가입해 20년간 소득의 9%에 해당하는 보험료를 내면 소득계층별로 연 6.9~11%의 수익률을 올릴 수 있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.

 반면 퇴직연금의 수익률은 2014년 12월 현재 연 2.8%정도에 불과해 국민연금의 수익률보다 훨씬 낮았다.

 3일 국민연금연구원에 따르면 한정림 부연구위원은 이런 내용을 담은 '퇴직연금의 최근 동향 및 국민연금과 퇴직연금의 수익성 비교분석'이란 연구보고서를 내놓았다.

 보고서를 보면 1년 만기 원금보장형 퇴직연금의 수익률, 즉 평균금리는 2014년 12월 현재 확정급여형(DB형: Defined Benefit)은 연 2.76%이며, 확정기여형(DC형: Defined Contribution)은 연 2.81% 수준이었다.

 이에 반해 국민연금의 소득계층별 내부수익률은 2014년에 새로 국민연금에 가입하고 가입기간이 20년이면 최소 연 6.9%에서 최고 연 11.0% 이어서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의 평균금리보다 월등히 높은 수준이었다.

 2014년 가입한 국민연금 20년 가입자의 소득계층별 수익률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, 평균소득자는 연 8.5%, 월 100만원 소득자는 11.0%, 월 300만원 소득자는 7.5%, 월 408만원 소득자는 연 6.9% 등이었다.

 국민연금의 소득재분배 효과로 저소득계층이 고소득계층보다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높았다.

 나아가 국민연금의 수익비는 소득계층별로 1.4~2.9배에 달해 노후에 연금을 받을 때 자신이 낸 보험료 총액뿐 아니라 추가로 40~190% 정도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. 그 어떤 민간 연금상품보다 우월한 수익성을 보여준 것.

 수익비는 낸 보험료 총액의 현가 대비 연금수급 총액의 현가 비율로 정의되며, 수익비가 1보다 크면 낸 보험료보다 연금으로 받는 금액이 더 많다는 의미다.

 한 부연구위원은 "사적연금의 수익성이 공적연금보다 낮긴 하지만, 소득대체율(연금급여율)이 40%수준으로 급락한 국민연금만으로는 충분한 노후소득을 보장하지 못하는 만큼 다층노후보장체계의 한 축으로 퇴직연금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"고 강조했다.

 shg@yna.co.kr
(끝)

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Me2Day로 보내기 게시글을 요즘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구글로 북마크 하기 게시글을 네이버로 북마크 하기 쪽지보내기
이름 패스워드 비밀글